광복절을 맞아 오늘은 블라디보스톡에 오시면 꼭 한번 들를 만한 곳을 여러분께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2020년 블라디보스토크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총리를 역임하셨던 독립운동가 이동휘 선생의 기념비가 세워졌습니다. 제가 사는 집에서 걸어서 5분 정도의 아주 가까운 곳에 위치해있는데요. 다시 하늘길이 열려 한국 관광객분들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찾게 된다면 꼭 한번 들러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블라디보스토크 이동휘 선생 기념비 위치
2020년 9월 14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를 맡으셨던 성재 이동휘 선생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습니다. 이동휘 선생은 함경도 단천에서 태어나서 의병 활동 등 평생을 항일 독립운동에 힘쓰신 후 바로 이곳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생을 마감하신 분입니다. 주택가 근처에 위치해 있어 기념비의 주소가 아직 구글 지도나 러시아 앱에도 나와 있지 않는 것이 좀 안타까운데요. 블라디보스토크 필수 관광지 중 하나인 러시아 정교회 파크롭스키 성당을 기준으로 찾으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광복절을 맞이해 직접 나가 보았습니다.
블라디보스토크 필수 관광지중 하나인 포크롭스키 정교회로 가는 지하도입니다. 지하도로 들어가지 마시고 오른쪽으로 보시면 계단길이 하나 보입니다. 이 길로 올라오세요.

작은 계단 하나 오르면 또 다른 작은 계단 몇 개가 또 보이고 그 앞에 오르막길이 나옵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 정도 오르막길은 일상입니다. 그래도 오르막길 양쪽에 길게 뻗은 나무들이 있어 선선한 바람과 함께 오르기 좋습니다.

오르막길 가장 끝까지 올라갑니다. 느린 걸음으로 가도 2~3분이면 올라갑니다. 이 길을 제가 정말 자주 다니지만 도중에 있는 벤치에 비둘기 떼들이 참 많답니다. 비둘기떼 역시 블라디보스토크에 오시면 익숙해지셔야 합니다.

오르막길 끝에 보이는 계단에서 도로가 있는 왼쪽을 보시면 임시정부 초대 국무총리인 이동휘 선생 기념비가 마련된 곳으로 향하는 짧은 길이 보이고 멀리 기념비가 눈에 들어옵니다.

이곳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총리셨던 독립운동가 이동휘 선생의 기념비입니다.

이동휘 선생과 무명의 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하며란 문구를 광복절에 보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한글 바로 밑에는 러시아어로도 번역이 되어있어 지나가며 이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이동휘 선생의 이름이 기억된다면 참 기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혼자 방문했지만 잠시 묵념을 드려봅니다.
블라디보스토크 포크롭스키 정교회 도로 반대편에 위치한 이동휘 선생의 기념비는 높이 1m50cm이며 이동휘 선생의 흉상이 들어간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한국의 광복과 독립운동에 일생을 바친 이동휘 선생과 독립운동가들을 기리기 위해 경기문화재단이 예산을 지원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부지를 이곳으로 제공했다고 합니다.
독립운동가 이동휘 선생 약력

이동휘 (李東輝) 1873년 6월 20일 ~1935년 1월 31일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였으며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독립운동가입니다. 육군 장교 출신으로 평안도, 함경도, 연해주에 까지 의병 운동을 이끌었습니다. 또한 한인 사회에 기독교 사상을 전파했던 독실한 전교사로도 전해집니다. 이동휘 선생은 1895년 한성 무관학교에 입학해 군인이 되었지만 1906년 애국계몽운동에 헌신하기 위해 군인을 그만둡니다.
1907년 고종황제의 헤이그 특사 사건에 연관된 혐의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던 이동휘 선생은 1912년 북간도로 망명한 이후 1913년에는 이곳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해 거점으로 삼게 됩니다. 1918년 한인 사회당을 창당하였으며, 이곳 블라디보스톡 신한촌을 중심으로 한 권업회에 가담해 이상설, 이갑 등과 함께 항일투쟁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게 됩니다. 1919년 3.1 운동 직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만세시위 전개를 주도했으며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로 취임하게 됩니다. 1921년에 임시정부를 탈퇴해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열정적으로 전개하게 되고 1935년 1월 31일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여생을 마감합니다.
이동휘 선생이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였기 때문에 오랫동안 그 이름이 전해지지 않았지만 그의 근본적인 사상은 항일 독립운동 이었음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한국에서도 이동휘 선생이 일생 반일민족 독립운동에 바친 업적을 인정받아 199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 되었습니다.

블라디보스토크 , 혹은 연해주는 일제강점기 시절 독립운동가들의 최대 거점지중 하나였던 곳입니다.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유럽이란 타이틀로 한국 관광객들에게 알려졌지만 이동휘 선생 기념비와 신한촌 기념비 그리고 우스리스크의 최재형 선생 고택, 고려인 정착 기념비등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가 있는 곳을 방문해 역사를 잊지않고 되새겨보는 것 역시 또 다른 여행의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vladivost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라디보스토크 여행 - 카페 추천 [쏘련 커피 CCCP] Red Bottle Coffee (4) | 2021.08.21 |
---|---|
블라디보스톡 현지인 추천 카페 WALL STREET (9) | 2021.08.17 |
[러시아 여행] 블라디보스톡 항공권 최신정보 (1) | 2021.07.18 |
[러시아 여행] 블라디보스톡 무비자 재개 및 주의 사항 총 정리 (28) | 2021.03.12 |
얼음 바다 위를 달리는 " 블라디보스톡 아이스런 마라톤 대회" (18) | 2021.02.22 |
댓글